맨위로가기

프란체스코 귀차르디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란체스코 귀차르디니는 1483년 피렌체에서 태어난 이탈리아의 정치가이자 역사가이다. 그는 메디치 가문에 충성하며 외교관과 관료로 활동했고, 피렌체 공화국과 메디치 가문의 통치 사이에서 정치적 입장을 조율했다. 《이탈리아사》, 《피렌체사》, 《리코르디》 등 다양한 저서를 통해 현실주의 정치 사상을 제시했으며, 근대 역사학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귀차르디니는 니콜로 마키아벨리와 교류하며 역사 연구와 정치 사상에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사상은 한국의 실리 외교에도 시사하는 바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83년 출생 - 마르틴 루터
    마르틴 루터는 1483년 독일에서 태어난 신학자이자 종교 개혁가로, '오직 믿음으로' 칭의 교리를 확립하고 95개 논제를 발표하여 종교 개혁을 촉발했으며, 독일어 성경 번역과 성직자 결혼 허용에 기여했으나 후기에는 반유대주의적 주장을 펼치기도 했다.
  • 1483년 출생 - 바부르
    바부르는 티무르 제국 후예이자 무굴 제국 창시자로, 페르시아어로 '호랑이'를 뜻하는 별칭을 가졌으며, 권력 다툼 끝에 카불을 정복하고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화약 무기를 지원받아 1526년 파니파트 전투에서 로디 왕조를 격파하고 무굴 제국을 건설한 군사 전략가이자 시인이다.
  • 1540년 사망 - 요한 게오르크 파우스트
    르네상스 시대 독일의 방랑자이자 점성가, 연금술사로 알려진 요한 게오르크 파우스트는 실존 여부가 불분명하지만, 후대에 악마와 계약한 마법사 "파우스트"의 원형으로 다양한 문헌과 예술 작품에 등장하며 불멸의 캐릭터로 자리 잡았다.
  • 1540년 사망 - 김극성
    김극성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별시문과 급제 후 중종반정에 가담하여 공신에 책록되었고, 여러 요직을 거쳐 우의정에 이르렀으며, 김안로 사후 복귀하여 활약한 인물로, 시호는 충정이다.
프란체스코 귀차르디니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크리스토파노 델알티시모의 프란체스코 구이차르디니 초상화
크리스토파노 델알티시모가 그린 구이차르디니의 초상화 (1605년경)
이름프란체스코 구이차르디니
출생일1483년 3월 6일
출생지피렌체, 피렌체 공화국
사망일1540년 5월 22일
사망지아르체트리, 피렌체 공국
매장지피렌체의 산타 펠리치타 교회
국적이탈리아
직업역사학자, 정치인, 외교관
알려진 업적이탈리아사
개인사
배우자이름 정보 없음
자녀이름 정보 없음
기타
로마자 표기Francesco Guicciardini

2. 생애

프란체스코 귀차르디니는 1483년 3월 6일 피렌체의 귀차르디니 가문에서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귀차르디니 가문은 메디치 가문에 충성하였다.[1] 그는 크세노폰, 투퀴디데스, 리비우스, 타키투스 등 고전 작가들의 작품을 읽으며 인문 교육을 받았다. 이후 피렌체 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했고, 프란체스코 페피에게 배웠다. 1500년부터 2년간 페라라에 있었고, 파두아에서 공부했다. 1505년 피렌체로 돌아와 민법 제정에 참여했고, 11월 민법 박사 학위를 받았다.[1]

2. 1. 초기 생애

프란체스코 귀차르디니는 1483년 3월 6일 피렌체의 명문 귀족 가문에서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귀차르디니 가문은 메디치 가문에 충성하며 피렌체 정치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1] 어린 시절부터 크세노폰, 투퀴디데스, 리비우스, 타키투스 등 고전 작가들의 작품을 읽으며 인문학 교육을 받았다.[2] 이후 피렌체 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하고, 페라라 대학교파도바 대학교에서 유학했다.[3]

1505년 피렌체로 돌아와 민법 제정에 참여하고, 같은 해 11월 민법 박사 학위를 취득하여 법률가로서 경력을 시작했다. 1508년에는 명문가 출신인 마리아 살비아티와 결혼하여 정치적 입지를 강화했다.[5] 같은 해, 귀차르디니 가문의 가족 회고록인 "Memorie di famiglia"(가족 회고록), "Storie Fiorentine"(피렌체 이야기), 그리고 개인적인 격언과 성찰을 모은 "Ricordi"(리코르디)를 쓰기 시작했다.[5]

피렌체에 있는 귀차르디니 궁전


귀차르디니 가문 문장

2. 2. 외교관 및 관료 경력

귀차르디니는 1512년 피렌체 공화국의 아라곤 대사로 임명되어 페르난도 2세의 궁정에 파견되면서 외교관 경력을 시작했다.[6] 그는 스페인에서 페르난도 2세의 정치적 술수를 관찰하며 정치 현실주의에 대한 교훈을 얻었다.[21] 스페인에 있는 동안 피렌체에서는 메디치 가문이 권력을 되찾았고, 귀차르디니는 피렌체로 돌아가 정치에 참여하고 싶어했다.[8]

1514년 귀차르디니는 피렌체로 돌아와 내부 보안을 담당하는 오토 디 발리아의 일원이 되었고, 1515년에는 피렌체 최고 행정기관인 시뇨리아에서 근무했다.[8]

1513년 로렌초 1세의 아들 조반니 데 메디치가 교황 레오 10세로 즉위하면서 피렌체는 교황의 통제 하에 놓이게 되었고, 귀차르디니는 교황청에서 관료 경력을 시작할 기회를 얻었다. 1516년 레오 10세는 그를 레조 총독으로, 1517년에는 모데나 총독으로 임명했다.[8] 1523년 교황 클레멘스 7세는 귀차르디니를 로마냐의 부총독으로 임명하여 아펜니노 산맥 너머 교황령의 실질적인 지배자로 만들었다.[8]

프랑수아 1세와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 사이의 갈등이 심화되자, 귀차르디니는 교황에게 프랑스와 동맹을 맺을 것을 조언했고, 이는 1526년 코냑 동맹 체결로 이어졌다. 같은 해 클레멘스 7세는 귀차르디니를 교황군 부사령관으로 임명했다. 1527년 귀차르디니는 황제 군대의 피렌체 공격을 막는 데 성공했지만, 로마 약탈을 막지는 못했다.[8]

2. 3. 피렌체 공화국과 메디치 가문

당시 많은 피렌체 귀족과 마찬가지로 귀차르디니는 베네치아 공화국을 모델로 한 혼합 공화정부를 지지했다.[13] 메디치 가문과 매우 자주, 긴밀하게 협력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그들의 통치를 폭정으로 여겼다.[14] 귀차르디니는 자신의 공화주의 이상과 메디치 가문에 대한 지지를 다음과 같이 조화시켰다. "대중 정부 아래 인간의 평등은 한 시민이 다른 시민보다 더 큰 명성을 누린다고 해서 전혀 모순되지 않으며, 모든 사람의 사랑과 존경에서 비롯되고 사람들이 원할 때 철회될 수 있다면 더욱 그렇다. 사실, 이러한 지지가 없이는 공화국은 거의 지속될 수 없다."[15]

로마 약탈 직후 귀차르디니는 피렌체로 돌아왔지만, 1527년 메디치 가문은 도시에서 추방되었고, 극단적인 반(反) 메디치 파벌인 ''아라비아티''에 의해 공화국이 재건되었다. 메디치 가문과의 긴밀한 관계로 인해 귀차르디니는 고향에서 의심을 받았다. 1530년 3월, 메디치 가문을 섬긴 결과로 귀차르디니는 반역자로 선언되었고 그의 재산은 몰수되었다.[16]

이 마지막 피렌체 공화국은 오래 지속되지 못했고, 황제 군대의 피렌체 포위전을 9개월 동안 겪은 후 1530년에 도시는 항복했다. 교황 클레멘스 7세의 지휘 아래 귀차르디니는 메디치 가문에 저항한 피렌체 시민들을 처벌하는 임무를 맡았고, 교황의 뜻에 반대했던 사람들에게 가혹하게 정의를 내렸다.[17] 베네데토 바르키는 그 임무를 수행하면서 "메세르 프란체스코 귀차르디니는 다른 사람들보다 더 잔혹하고 사나웠다"고 주장했다.[18]

귀차르디니는 메디치 파의 중신 중 한 명이었다. 1537년 피렌체 공 알레산드로 데 메디치가 암살되자, 귀차르디니가 중심이 되어 메디치 파에 의한 중신 회의를 열어 방계인 코시모 1세를 2대 피렌체 공으로 선출했다.

2. 4. 말년과 사망

1534년 교황 클레멘스 7세가 사망한 후 귀차르디니는 피렌체로 돌아와 알레산드로 데 메디치의 고문으로 활동했다.[17] 1535년 나폴리에서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 앞에서 추방된 반역자들의 폭정에 대한 비난에 맞서 알레산드로를 변호했다.[20] 그는 1536년 알레산드로와 황제 카를 5세의 딸 파르마의 마르가리타의 결혼을 성공적으로 성사시키는 데 기여했으며, 1537년 공작이 암살될 때까지 잠시 알레산드로의 가장 신뢰받는 고문이었다.

그 후, 귀차르디니는 피렌체 정치 시스템에 갓 입문한 17세의 코시모 1세와 동맹을 맺었다. 귀차르디니는 코시모를 피렌체 공작으로 지지했지만, 코시모는 권력을 잡은 직후 그를 해고했다. 귀차르디니는 아르체트리에 있는 자신의 저택으로 은퇴하여 마지막 몇 년 동안 《이탈리아사》를 집필했다.
빌라 라바, 아르체트리, 프란체스코 귀차르디니가 《이탈리아사》를 집필한 귀차르디니 가문의 옛 저택
그는 1540년 남자 상속자 없이 사망했다.[21]

3. 주요 저작

프란체스코 귀차르디니는 생전에 자신의 저작을 출판하지 않았다. 대표작인 20권 분량의 『이탈리아사』 중 처음 16권이 1561년에 출판되었고, 1579년 제프레이 펜턴 경에 의해 영어로 번역되었다.[22] 1857년까지는 『이탈리아사』와 『리코르디』에서 발췌된 일부 내용만 알려졌다. 그해 귀차르디니 가문은 기록 보관소를 개방하고 주세페 카네스트리니에게 회고록 10권 출판을 위임했다.[23]

기록 보관소에서 발견된 주요 저작은 다음과 같다.

제목내용
『리코르디(Ricordi politici e civili)』정치, 사회, 종교적 주제에 대한 약 220개의 격언.
마키아벨리의 담론(Discorsi sopra la prima deca di Tito Livio)에 대한 『관찰』마키아벨리를 비전가 또는 정치적 열정가로 여겼음을 보여줌.
『피렌체사(Storia Fiorentina)』생동감 넘치는 문체, 뛰어난 인물 묘사, 관대한 판단력이 특징인 초기 작품.
『피렌체 통치에 관한 대화』(Dialogo del reggimento di Firenze)이탈리아 연방에 적합한 정부 형태와 1494년까지 피렌체의 변천사를 논의한 초기 작품.
『정치 담론』(Discorsi politici)스페인 외교 임무 중 작성된 짧은 에세이.



파올로 사르피 이전 이탈리아 정치 철학의 포괄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미출판 저작물』(Opere inedite)은 마키아벨리의 논문과 함께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귀차르디니의 작품 한국어 번역 서적은 다음과 같다.

번역서 제목번역자출판사출판 연도
이탈리아사 (전 9권)스에요시 타카쿠니, 가와모토 히데아키 (7~9권)타이요 출판2001년~2007년
피렌체사스에요시 타카쿠니타이요 출판1999년 (신판 2006년)
피렌체의 정체를 둘러싼 대화스에요시 타카쿠니타이요 출판2000년
귀차르디니의 훈계와 의견 리콜디스에요시 타카쿠니타이요 출판1996년
피렌체 명문 귀족의 처세술 리콜디나가이 미츠아키고단샤 학술 문고 (1998년), 주오코론 클래식 (2018년)
귀차르디니의 생애와 시대 (상・하)스에요시 타카쿠니타이요 출판1997-1998년 (마르코 폴로 상 수상)


3. 1. 《이탈리아사》 (Storia d'Italia)

귀차르디니는 1490년부터 1534년까지 이탈리아 반도의 정세를 상세히 다룬 《이탈리아사》(Storia d'Italia)의 저자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24] 이 작품은 그가 생애 마지막 몇 년 동안 집필한 것으로, 평생 수집한 자료와 정치 경험을 바탕으로 후세를 위해 저술되었다.[24]

귀차르디니는 정부 기록과 정치 경험에서 얻은 자료를 활용했으며,[25] 이탈리아 통치자들과의 개인적인 만남은 그의 역사관에 큰 영향을 주었다.[25] 그는 권력자들이 사익을 추구할 것으로 보고 그들의 심리와 행동을 분석했다.[25]

교황 클레멘스 7세에 대한 그의 관찰은 이러한 특징을 잘 보여준다. "그는 매우 유능한 지성과 경이로운 세계 정세에 대한 지식을 갖추었음에도, 그에 상응하는 결단력과 실행력이 부족했다. 그는 정신적 소심함(결코 작지 않은)과 돈을 쓰려는 강한 꺼림 외에도, 어떤 선천적인 우유부단함과 당혹감으로 인해, 멀리서 여러 번 예측하고 고려하고 거의 드러냈던 일들을 결정해야 할 때 거의 항상 주저하고 모호한 상태로 남아 있었다."[26]

귀차르디니는 역사적 맥락을 고려하여 사건을 해석하는 특징을 보였으며,[27] 이는 초기 작품인 《피렌체의 역사》(1509)에서부터 나타났다.[27]

프란체스코 데 산크티스는 《이탈리아사》를 "지적 능력으로 볼 때 이탈리아인의 마음에서 나온 가장 중요한 작품"이라고 평가했다.[28] 니콜로 마키아벨리의 친구이기도 했던 귀차르디니는 《피렌체사》, 《이탈리아사》가 "역사서의 걸작"으로 칭해지면서 "근대 역사학의 아버지"라고 불린다. 다만, 《이탈리아사》는 레오폴트 폰 랑케의 《근세 역사가 비판》에서 참고 자료의 부정확성을 비판받기도 했다.

3. 2. 《피렌체사》 (Storia Fiorentina)

《피렌체사(Storia Fiorentina)》는 귀차르디니의 초기 작품으로, 피렌체의 역사를 다루고 있다.[23] 이 작품은 생동감 넘치는 문체와 뛰어난 인물 묘사, 그리고 관대한 판단력이 특징으로 꼽힌다.[23] 한국어 번역본으로는 스에요시 타카쿠니가 번역하고 타이요 출판에서 출간한 판본(1999년, 신판 2006년)이 있다.

3. 3. 《리코르디》 (Ricordi)

《리코르디(Ricordi politici e civili)》는 정치, 사회, 종교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약 220개의 격언으로 구성되어 있다.[23] 1512년부터 1530년 사이에 작성되었으며,[32] 귀차르디니의 현실주의적 정치관과 인간관을 엿볼 수 있다. 1857년 주세페 카네스트리니가 처음 책을 출판했을 때 《리코르디 시민 및 정치》라는 제목을 붙였다.[23] 영어로는 일반적으로 "the ''Ricordi''"라고 불리지만, "격언과 성찰 (Ricordi)" 또는 "조언과 성찰"이라고 번역되기도 한다.[32]

가톨릭 백과사전에서는 《리코르디 정치 및 시민》으로 언급한다. 한국어 번역본으로는 나가이 미츠아키 역의 《피렌체 명문 귀족의 처세술 리콜디》, 스에요시 타카쿠니 역의 《귀차르디니의 훈계와 의견 리콜디》 등이 있다.

3. 4. 기타 저작


  • 《피렌체 통치에 관한 대화(Dialogo del reggimento di Firenze)》: 1527년경 작품으로, 이탈리아 연방에 적합한 다양한 형태의 정부를 논하고 1494년까지 피렌체의 변천사를 설명한다.[23]
  • 마키아벨리의 담론(Discorsi sopra la prima deca di Tito Livio)에 대한 『관찰』: 16세기 이탈리아의 두 위대한 정치가의 견해를 보여주며, 귀차르디니가 마키아벨리를 다소 호의적인 시각으로 보았음을 알 수 있다.[23]
  • 《스페인 여행 일기》(1512): 귀차르디니가 스페인 외교 임무 중에 작성한 짧은 에세이.[23]


귀차르디니의 기타 저작(이탈리아어 및 영어 제목)은 다음과 같다.

  • 《피렌체사》 (''피렌체의 역사'', 1509)
  • 《로그로뇨 담론》 (1512)
  • 《스페인 보고서》 (1514)
  • 《위로》 (1527)
  • 《고발 연설》 (1527)
  • 《변호 연설》 (1527)
  • 《리코르디》 (''리코르디 시민 및 정치'', 1857년 주세페 카네스트리니 초판 제목) 또는 ''리코르디 정치 및 시민'' (''가톨릭 백과사전'' 언급); 영어로는 "the ''Ricordi''"로 통칭, 번역본에 따라 "격언과 성찰 (Ricordi)" 또는 "조언과 성찰" (1512–1530).[32]
  • 《피렌체의 사건》 (두 번째 "피렌체의 역사"; 1528–1531)


다음은 귀차르디니의 작품을 번역한 한국어 서적이다.

  • 스에요시 타카쿠니・가와모토 히데아키 역, 《이탈리아사》, 타이요 출판 (전 9권), 2001년~2007년 (7~9권은 가와모토 역)
  • 스에요시 타카쿠니 역, 《피렌체사》, 타이요 출판, 1999년 (신판 2006년)
  • 스에요시 타카쿠니 역・해설, 《피렌체의 정체를 둘러싼 대화》, 타이요 출판, 2000년
  • 스에요시 타카쿠니 역・해설, 《귀차르디니의 훈계와 의견 리콜디》, 타이요 출판, 1996년
  • 나가이 미츠아키 역, 《피렌체 명문 귀족의 처세술 리콜디》, 고단샤 학술 문고, 1998년 (주오코론 클래식, 2018년)
  • 스에요시 타카쿠니, 《귀차르디니의 생애와 시대》(상・하), 타이요 출판, 1997-1998년 (마르코 폴로 상 수상)

4. 사상과 영향

귀차르디니는 니콜로 마키아벨리와 함께 근대 현실주의 정치 사상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29] 그는 마키아벨리의 친구였으며, 1527년 마키아벨리가 사망할 때까지 서신을 주고받았다. 귀차르디니는 마키아벨리가 저서 ''로마사 논고''에서 제시한 몇몇 생각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기도 했다.[30]

귀차르디니는 피렌체사, 이탈리아사 등의 저서를 통해 "근대 역사학의 아버지"로 불린다.[31] 마키아벨리와 귀차르디니는 역사 저술 발전에 중요한 과도기적 인물로, 그들의 작품에 나타난 역사적 의식은 과거에 대한 사고방식에 있어서 중요한 단절을 보여준다.[31] 이들은 인간의 행위를 역사적 사고의 중심 요소로 삼았으며, 수사학적 틀에서 역사학을 분리하기 시작했다. 특히 귀차르디니의 작품에서는 비판적 역사 방법의 첫 흔적을 관찰할 수 있다.[31]

다만, 귀차르디니의 「이탈리아사」는 레오폴트 폰 랑케의 「근세 역사가 비판」에서 참고 자료의 부정확성을 엄격하게 비판받기도 했다.

4. 1. 현실주의 정치 사상

귀차르디니는 인간의 본성이 이기적이고 권력을 향한 욕망으로 가득 차 있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인간 본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현실 정치를 분석했다. 그는 국가가 생존하고 번영하기 위해서는 도덕적인 이상보다는 현실적인 힘과 이익을 추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니콜로 마키아벨리와 함께 귀차르디니는 근대 현실주의 정치 사상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29] 그는 마키아벨리의 친구였으며, 1527년 마키아벨리가 사망할 때까지 서신을 주고받았다. 귀차르디니는 마키아벨리가 저서 ''로마사 논고''에서 제시한 몇몇 생각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기도 했다.[30]

4. 2. 역사 연구 방법론

니콜로 마키아벨리의 친구였던 귀차르디니는 피렌체사, 이탈리아사 등의 저서를 통해 "근대 역사학의 아버지"로 불린다. 그의 역사 연구 방법은 역사학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31]

마키아벨리와 귀차르디니는 역사 저술의 발전에 중요한 과도기적 인물이다. 그들의 작품에 나타난 역사적 의식은 과거에 대한 사고방식에 있어서 중요한 단절을 보여준다.[31] 이들은 인간의 행위를 역사적 사고의 중심 요소로 삼았으며, 수사학적 틀에서 역사학을 분리하기 시작했다. 특히 귀차르디니의 작품에서는 비판적 역사 방법의 첫 흔적을 관찰할 수 있다.[31]

다만, 귀차르디니의 「이탈리아사」는 레오폴트 폰 랑케의 「근세 역사가 비판」에서 참고 자료의 부정확성을 엄격하게 비판받기도 했다.

5. 평가

니콜로 마키아벨리의 친구였던 귀차르디니는 피렌체사와 이탈리아사를 저술했는데, 이 책들은 "역사서의 걸작"으로 불리며 귀차르디니를 "근대 역사학의 아버지"로 평가받게 했다. 다만, 레오폴트 폰 랑케는 「근세 역사가 비판」에서 귀차르디니의 「이탈리아사」에 사용된 참고 자료가 부정확하다고 비판했다.[1]

참조

[1] 서적 Op. med. vol. X
[2] 서적 Introduction to Francesco Guicciardini, Dialogue on the Government of Florence Cambridge
[3] 백과사전 Francesco Guicciardini Dizionario Biografico degli Italiani
[4] 서적 Francesco Guicciardini, Selected Writings London
[5] 서적 Francesco Guicciardini: The Historian's Craft Toronto
[6] 서적 Scritti autobiografici e rari Bari
[6] 서적 Maxims and Reflections (Ricordi)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7] 서적 Op. med., Volume VI
[8] 서적 Francesco Guicciardini: The Historian's Craft Toronto
[9] 백과사전 Francesco Guicciardini
[10] 서적 Introduction to Francesco Guicciardini, The History of Italy Princeton
[11] 서적 The Storie Fiorentine and the Memorie di Famiglia by Francesco Guicciardini Firenze
[12] 서적 Guicciardini: Dialogue on the Government of Florence Cambridge
[13] 서적 op. cit
[14] 서적 Storia Fiorentina
[15] 서적 Maxims and Reflections (Ricordi) Harper & Row
[16] 서적 The History of Italy
[17] 서적 Encyclopedia of the Renaissance Scribner’s Sons
[18] 서적 Storia Fiorentina
[19] 서적 Correspondence, Op. med. vol. IX
[20] 서적 Op. med. Volume IX
[21] 백과사전 Guicciardini, Francesco EB1911
[22] 서적 op. cit
[23] 서적 Opere Inedite di Francesco Guicciardini Firenze
[24] 서적 Machiavelli and Guicciardini: Politics and History in Sixteenth-Century Florence Princeton
[25] 서적 Introduction to Francesco Guicciardini, The History of Italy Princeton
[26] 서적 The History of Italy Princeton
[27] 서적 The Storie Fiorentine and the Memorie di famiglia by Francesco Guicciardini Sansoni, Firenze
[28] 서적 Introduction to Francesco Guicciardini, The History of Italy Princeton
[29] 서적 Machiavelli and His Friends: Their Personal Correspondence Northern Illinois Press
[30] 서적 Machiavelli and Guicciardini
[31] 서적 The Making of the Humanities: Vol. 1 Early Modern Europe Amsterdam
[32] 서적 Maxims and Reflections of a Renaissance Statesman (Ricordi) https://archive.org/[...] Harper Torchbooks 2019-12-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